티스토리 뷰
크롬 HTTPS접속 오류와 대처 방법
@!#^^ 2023. 5. 16. 22:38
크롬 HTTPS란?
크롬은 인터넷에서 안전하고 보안된 웹 사이트 접속을 위해 HTTPS(보안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HTTPS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암호화를 통해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HTTPS 접속 오류와 대처 방법
크롬에서 HTTPS 접속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대부분은 서버의 SSL 보안 인증서의 유효 기간 만료로 인한 것이다. 오류가 발생하면 주소창에 "연결이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며, 이는 개인 정보 유출의 시도일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1. 안전하지 않은 사이트로의 접속
고급 설정에서 안전하지 않은 사이트로 이동하여 HTTP로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 정보를 요구하는 사이트나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에서는 접속을 자제해야 한다.
2. 보안 인증서 확인
인증서 정보 확인을 통해 보안 인증서의 유효 기간 만료를 확인할 수 있다.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해당 웹 사이트의 관리자에게 문의하여 인증서 갱신을 요청해야 한다.
3. 기다리기
문제의 해결 방법은 단순히 기다리는 것이다. 때로는 네트워크 연결 문제나 잠시 서버 접속량이 초과된 경우에도 HTTPS 접속이 실패할 수 있다. 일시적인 문제일 경우 시간이 지나면 해결될 수 있다.
4. 다른 오류 확인
HTTPS 접속 오류가 지속되는 경우, 다른 오류 문제일 수도 있다. 오류 메시지를 자세히 확인하고 해당 문제에 대한 대처 방법을 찾아야 한다.
크롬에서 HTTP로 접속 시 강제 전환 현상 해제 방법
크롬에서 HTTP로 접속하면 강제로 HTTPS로 전환되는 현상이 있다. 이후에는 항상 HTTPS로 접속된다. 이 현상을 해제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1. 설정 삭제
크롬의 주소창에 "chrome://net-internals/#hsts"를 입력하여 해당 링크에 접속한다. 삭제할 도메인을 입력하고 설정을 삭제한다. 이후에 HTTP로 접속하면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2. 설정 추가 후 삭제
크롬의 주소창에 "chrome://net-internals/#hsts"를 입력하여 해당 링크에 접속한다. 설정 추가를 위해 "Add HSTS domain"에 도메인을 입력하고 설정을 추가한다. 그 후, 설정을 다시 삭제하여 해제한다. 이후에 HTTP로 접속하면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처럼 크롬에서 HTTPS 접속 오류와 HTTP 강제 전환 현상에 대한 해결 방법을 알아보았다. HTTPS 접속 오류는 주로 서버의 SSL 보안 인증서 유효 기간 만료로 인한 것이며, 보안 인증서 확인과 기다리기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또한, HTTP 강제 전환 현상은 설정 삭제나 설정 추가 후 삭제를 통해 해제할 수 있다. 요약 정보:
- 크롬에서 HTTPS 접속 오류는 주로 서버의 SSL 보안 인증서 유효 기간 만료로 인해 발생한다.
- HTTPS 접속 오류 해결 방법: 안전하지 않은 사이트로 접속, 보안 인증서 확인, 기다리기, 다른 오류 확인.
- 크롬에서 HTTP로 접속 시 강제 전환 현상 해제 방법: 설정 삭제, 설정 추가 후 삭제.
해결 방법 | 설명 |
---|---|
안전하지 않은 사이트로의 접속 | 고급 설정에서 안전하지 않은 사이트로 이동하여 HTTP로 접속 가능 |
보안 인증서 확인 | 인증서 정보 확인을 통해 유효 기간 만료 확인 후 관리자에게 갱신 요청 |
기다리기 | 일시적인 문제일 경우 시간이 지나면 해결될 수 있음 |
다른 오류 확인 | 지속되는 문제의 원인이 다른 오류인지 확인하고 대처 |
HTTP 강제 전환 현상 해제 방법 | 설명 |
---|---|
설정 삭제 | "chrome://net-internals/#hsts"에 접속하여 설정 삭제 |
설정 추가 후 삭제 | "chrome://net-internals/#hsts"에 접속하여 도메인 추가 후 설정 삭제 |
이렇게 크롬에서 HTTPS 접속 오류와 HTTP 강제 전환 현상에 대한 해결 방법을 알아보았다. 안전한 인터넷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접속 오류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